영희야 노올자~!!
안녕하세요 딜리와 유로입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 고양이를 키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는 주로 토끼, 설치류, 새, 곤충 등과 같은 작은 동물을 잡아 먹습니다.
먹이가 부족하면 가끔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를 잡아 먹기도 합니다.
길고양이나 자율급식을 하는 집고양이는 하루에 8번에서 16번 식사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묘의 경우 하루에 한번 급식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전형적인 육식동물로 생리작용이 고기를 소화시키는 데 최적화되어 있으며,
식물을 소화시키는 능력은 일부 제한적입니다.
고양이는 타우린과 아르기닌들을 스스로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살코기로부터 얻어야 합니다.
따라서 고양이는 생존하기 위해서 반드시 고기를 먹어야 합니다.
타우린 결핍은 고양이의 망막에 서서히 퇴화를 가져와 갑자기 돌이킬 수 없는 맹시를 만드는
황반변성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혈액 응고, 면역기능약화를 초래합니다.
아르기닌 역시 아미노산의 일종이며 견과류, 유제품, 어류, 육류 등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아르기닌이 고양이에게 부족할 경우 구토, 침 흘림, 떨림, 운동 실조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선택적인 식성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간손상의 위험없이 36시간 이상의 공복을 견딜 수 없습니다.
고양이는 자신의 후각신경을 자극하는 캣닙이나 개다래를 매우 좋아합니다.
많은 고양이가 캣닙이나 개다래를 매우 좋아해서
그 위에서 구르고, 가지고 놀고, 가끔은 씹기까지 합니다.
침을 흘리며 마약에 취한 듯한 모습을 보이는 개체에서부터
전혀 관심이 없는 개체까지 개체별 차이가 있습니다.
고양이의 간은 사람이나 개와 같은 다른 동물에 비해 해독력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그래서 가정에서 안전하다고 생각되며 많이 노출되는 물질도 고양이에게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오염에도 더 민감하다고 알려져 있어서
어떠한 명백한 이유 없이 고양이가 갑자기 혹은 지속적인 병에 걸렸을 때에는
독에 노출되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집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좀약이나 나프탈렌 제제를 포함하여 제초제, 살충제, 살서제 등도 고양이에게 위험합니다.
에센셜 오일도 고양이에게 독성으로 나타나는데
티트리 오일이나 티트리 오일 베이스의 화장품, 샴푸로 인해
심각한 질환을 앓는 고양이의 경우도 보고된 바가 있습니다.
사람이 먹는 음식도 고양이에게 독성을 띨 수 있는데,
초콜릿을 먹으면 테오브로민 중독을 일으킬 수도 있고
많은 양의 양파나 파, 부추, 마늘도 고양이에게는 독성을 띤다고 합니다.

무리 생활을 하지는 않지만 자신보다 놓은 서열의 고양이의 식사 순서를 지키는 등 서열 의식이 갖춰져 있습니다.
사람, 가축, 다른 반려동물과의 가까운 곳에서의 생활은 고양이가 점차로 공생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적응이 되게 하였으며,
그럼으로써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애정표현을 잘 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집에서 자란 어른 고양이는 마치 새끼고양이 시절이 연장인 것 처럼 행동하는데
이것을 '행동적 유형성숙' 이라고 합니다.
고양이는 암컷보다는 수컷이 더 자주 싸웁니다.
길고양이의 경우에는 한마리의 암컷을 두고 두마리의 수컷이 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암컷 고양이는 하나의 자궁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발정을 자주 하는 편입니다.
보통은 초봄에서 늦가을 사이에 발정을 합니다.
발정은 2주에 한번 주기로 약 4일에서 7일간 합니다.
고양이의 혀에는 목구멍쪽을 향해 고리처럼 뻗은 케라팅을 함유한 유두돌기가 있어서
케라틴 돌기와 침으로 털을 핥아 스스로 단장합니다.
어떤 고양이들은 때때로 이러한 몸단장으로 인하여 위장에 쌓인 털 뭉치를 토해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헤어볼은 특정 고양이 사료나 털제거를 돕는 약,
그리고 빗이나 솔로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줌으로써 예방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다른 고양이과 동물들처럼 높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양이의 습성에 알맞은 장난감은 바로 캣타워 입니다.
물을 적게 먹는 습성은 단순히 고양이가 사람과 달리 땀을 통해 열관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몸이 많이 수분섭취량을 요구하지 않을 뿐입니다.
가끔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 중에 고양이가 창밖을 내려다보면 나가고 싶어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고양이에게 창밖이란 인간이 TV를 시청하는 것과 같습니다.
밖에 보이는 새와 곤충들을 보면서 안에서 할 수 없는 사냥 욕구를 창밖을 보면서 해소하는 것입니다.
외부세계의 호기심을 집 안에서 풀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게 좋다고 합니다.
이상 고양이를 키우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이였습니다.

'영희야 노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사들도 잘 모르는 고양이 기분 파악 하는 방법 (0) | 2022.09.24 |
---|---|
집사라면 알고 있어야 하는 고양이 기분 안 좋을 때 내는 소리 5가지 (0) | 2022.09.23 |
집사라면 알고 있어야 하는 고양이 기분 좋을 때 내는 5가지 소리 (0) | 2022.09.20 |
꼭 알고 있어야 할 고양이 신체의 8가지 비밀 (0) | 2022.09.19 |
고양이를 키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1 (0) | 2022.09.15 |
댓글